반응형
1. 문제 검증하기
1) 인사 : 인터뷰 환경 조성 (2분)
- 인터뷰가 어떻게 진행될 지 간단한 설명
- 간단한 우리 팀 및 제품/서비스 계획 소개, 대략적인 문제 배경 설명 등
2) 인구 통계학적 정보 입수 : 고객군 테스트 (2분)
- 고객군을 세분화하는 기준이 되는 인구 통계학적 정보 수집 (예 : 나이, 직업, 사는 지역, 자녀 유무 등)
3) 이야기하기 : 문제의 배경 설명 (2분)
- 우리 팀이 해당 문제나 고객 니즈에 관심을 갖게 된, 혹은 현재 트렌드를 중심으로 배경 설명 및 설명에 대한 고객의 동의 여부, 얼마나 동의하는지의 동의의 강도 등 파악
4) 문제의 우선순위 정하기 : 문제테스트 (4분)
- 앞서 고객의 핵심 문제로 정의한 문제 가설 2~3개에 대한 공감 및 우선순위에 대한 질문
- 미처 파악하지 못했지만, 실제 고객 입장에서 가장 불편하다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나 니즈 추가 확인
5) 고객 관점 탐색 : 문제테스트, 개별 문제에 대해 기존에 고객이 해결하는 방식이나 솔루션 등 맥락적 이해 (15분)
- 앞서 고객이 문제/니즈라고 인정한 가설에 대해 실제 인터뷰 대상자는 이 문제/니즈 해결을 위한 어떤 노력/프로세스/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지 맥락 중심으로 학습
- 이때,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소개나 설명 등 일체 금지. 고객이 말하는 내용을 듣는데 집중
6) 마무리 : 미끼와 부탁, 차후 솔루션 인터뷰에 대한 추가 인터뷰 약속 및 인터뷰 대상자 소개 받기 (2분)
7) 결과 정리 : 결과의 문서화 (5분)
출처: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63
- 린 캔버스, 린 보드를 작성한 것은 창업자의 경험이나 머릿속에서 나온 가설일 뿐
→ 실제 검증을 위해선 직접 고객들을 만나고 검증해야 함 - 간단한 설문조사나 그룹 인터뷰가 아니라
정말 불편한 고객이 있는지, 얼마나 불편한지 직접 1:1 고객 인터뷰 - 고객을 만날 필요없다고 생각하거나, 고객을 만나는 것을 불편하다고 생각하면 안 됨
- 고객 문제 검증 인터뷰와 솔루션 검증 인터뷰로 진행
고객 문제 검증 인터뷰: 고객 문제를 실제로 고객이 가지고 있는지, 현재 해결하기 위해 뭘하는지 (대안)
솔루션 검증 인터뷰: 이 가설이 진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지 - 모든 인터뷰에는 시작 순간부터 마무리까지 시나리오를 준비해야 함
- 인터뷰가 끝난 뒤에는 보고서 작성
-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을 때가 검증 종료 시점 (최소 10명 ~ 30명)
2. 솔루션 검증하기
1) 인사 : 인터뷰 환경 조성 (2분)
- 인터뷰가 어떻게 진행될 지 간단한 설명
- 간단한 우리 팀 및 제품/서비스 계획 소개, 대략적인 문제 배경 설명 등
2) 인구 통계학적 정보 입수 : 고객군 테스트 (2분)
- 고객군을 세분화하는 기준이 되는 인구 통계학적 정보 수집 (예 : 나이, 직업, 사는 지역, 자녀 유무 등)
3) 이야기하기 : 문제의 배경 설명 (2분)
- 우리 팀이 해당 문제나 고객 니즈에 관심을 갖게 된, 혹은 현재 트렌드를 중심으로 배경 설명 및 설명에 대한 고객의 동의 여부, 얼마나 동의하는지의 동의의 강도 등 파악
4) 솔루션 데모 시연 : 솔루션테스트 (15분)
- 고객의 핵심 문제/니즈에 대해 우리 제품이나 서비스가 어떻게 해결하는지 시연
- MVP(Minimum Viable Product) 형태의 상품을 기반으로 시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 만약 MVP 개발도 아직 시작하지 못한 초기 단계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잠재 고객이 머릿속으로 솔루션이 자신의 삶에 들어와서 어떻게 발전을 만들어내는지를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브로셔', '사용자 문제 해결 시나리오', '모의 광고', '제품 이미지 또는 비디오' 등을 시연
- 핵심 문제 해결과 관련한 추가 아이디어 획득
5) 가격 테스트 : 수익원 검증 (3분)
- 우리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적정한 가격에 대한 고객의 생각/의견 듣기
- 중요한 것은 인터뷰 대상자가 아무런 리스크없이 얘기하는 답은 의미가 없음. 그렇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것은 현장에서 직접 구매 확답까지 받는 것임(우리나라 정서상 해당 부분이 힘들기는 함)
6) 마무리 : 부탁, 향후 실제 제품/서비스 출시 시 연락 허락받기 및 인터뷰 대상자 소개 받기 (2분)
7) 결과 정리 : 결과의 문서화 (5분)
출처: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63
- ①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이 될 수 있는가?
• 가장 좋은 대안인가?
• 고객이 지불할 가격보다 더 높은 가치를 제공하는가? - ②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는가?
- ③ 필수기능, 추가기능, 제외기능은 무엇인가?
- 솔루션을 설득하려고 하지말고, 고객의 소리를 겸허하게 듣고 이에 따라 수정하고 보완해야 함
- 고객에게 스토리보드, 웹서비스, 시나리오, MVP 등으로 솔루션을 제시하고 인터뷰
- 저희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 나은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MVP 제시)
이 서비스가 문제해결의 솔루션이 될 수 있을지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1. 이 서비스가 기존 대안보다 더 나은 솔루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 서비스 내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십니까?
3. 이용하고 싶은 생각이 드십니까?
4. 어떤 부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추가하고 싶은 기능이 있습니까?
6. 주위에 추천하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까?
7. 이 솔루션의 가격이 OO원으로 책정된다면 이용하시겠습니까?
3. 제품과 서비스 검증하기
- MVP는 많은 기능을 구현하려기보다는 핵심기능만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함
완성도에 대한 욕심으로 최대한 많은 기능을 넣으면 시간은 지체되고, 완성도는 오히려 떨어짐 - 최초의 고객에게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추천
웹서비스든 물리적 제품이든, 제품이 전달되었으면 고객을 최대한 만족시켜야 함 - 초기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 최우선 거점고객은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 대상
반응형